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 콧물을 들이마시거나 삼켜도 될까?

생활정보

콧물을 들이마시거나 삼켜도 될까?

소소한 지식 2021. 1. 10. 16:40
반응형

콧물이 생기면 갑자기 왈칵 쏟아지거나 가만히 있어도 줄줄 흐르는 증상이

남녀노소 구분 없이 괴롭히게 되기 때문에 성인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경우도

집중력 저하, 무기력증 등이 발생하여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게 됩니다.

특히, 콧물은 풀어내서 배출시켜 줘야 하지만 어린아이들은 콧물이 생성되면

습관적으로 훌쩍훌쩍 콧물을 삼키게 되는데 콧물 삼키는 습관으로 인해 다른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콧물 어떻게 생기는 건가요?

 

코 안쪽의 어른 주먹만 한크기의 빈 공간인 비강이 있고

비강의 표면은 점막으로 돼있다고 합니다.

 

비강 점막에서는 하루 1L의 수분이 나오는데

이 수분이 코로 흡인된 차고 건조한 공기를

온도와 습도를 높여 폐로 보낸다고 합니다.

 

또, 이 수분이 코로 들어온 이물질이나

세균, 바이러스 등을 흡착해 목으로 흘려보낸다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콧물입니다.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목으로 넘어가는 콧물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면역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위산에 의해 살균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유해한 콧물은?

 

감기, 비염, 축농증에 의해 분비되는 콧물은

염증성 물질이나 바이러스, 세균 등이 들어있기 때문에

삼키지 않도록 합니다.

 

미세먼지나 황사가 심한 날에도

안좋은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에 삼키지 않도록 합니다.

 

콧물이 날때는 코를 세게 풀지 않고

가볍게 닦아내는 정도로 처리해야됩니다.

 

코를 세게 풀면 코 안의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이관을 타고 귀로 넘어가 중이염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하네요. 

 

 

 

이런 상황에서 콧물 삼켜도 되나요?

 

색깔에 따라 병의 종류를 확인해 볼 수 있는데

맑은 콧물이 난다면 감기 초반이나 알레르기 비염을

추측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찐득한 콧물이 나오면 감기가

진행되었거나 비부비동염이 낫고 있는 과정이라고 하네요.

 

누런 콧물이 나오면 급성이나 만성 비부비동염,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는 흔치는 않지만 

종양 등을 의심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결론은 콧물은 삼키지 않고 가볍게 닦아내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코를 풀떈 살살

콧물은 삼키지 않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