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 주의해야 할 저체온증의
증상과 대처법은 무엇일까요?
날씨가 점점 추워질수록 각종 질병에
걸리시는 분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서 감기라도 걸리게 되면
코로나가 아닌지 겁도 나고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는지 염려되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겨울철에는 감기와 같이 위험하고
자주 발생하는 질환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저체온증입니다.
저체온증이란 몸의 체온이 35℃ 미만으로
떨어졌을 때 일어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저체온증 증상
저체온증은 체온이 몇 도인지 따라
경도, 중증도, 중증으로 나뉘게 됩니다.
32~35℃ 경도
- 피부가 창백해지고 입술색이 파래집니다.
- 발음이 부정확해지고 판단력이 흐려집니다.
- 몸의 이곳 저곳에 닭살이 생깁니다.
- 지나치게 몸이 떨립니다.
28~32℃ 중증도
- 몸 근육이 경직됩니다.
- 동공이 확장됩니다.
- 심장박동이 느려지고 호흡도 느려집니다.
- 의식이 흐려지고 기억력이 저하됩니다.
28℃ 이하 중증
- 혈압이 떨어집니다.
- 심박수가 현저히 떨어집니다.
- 반사능력이 떨어집니다.
-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저체온증에 걸린 사람 대처법
의식이 있는 '저체온증'
경증 정도의 저체온증 증상에
의식이 있다면
젖어 있는 옷은 얼른 벗기고 마른 담요를 이용해서
체온이 더 이상떨어지지 않고 유지되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따뜻한 물이나 음료를 마시고 핫팩 등을
이용해서 체온이 올라가도록 합니다.
의식이 없는 '저체온증'
중증도 이상의 저체온증에
의식이 없다면
체온을 올리는 과정에서 심장의
부정맥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절대 직접 조치를 취하려고 하지 말고
구급차를 부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중증 저체온증의 경우에 사망률이 50% 이상이며,
폐렴. 동상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고 조심해야 된다고 합니다.
저체온증 예방법
1. 옷을 따뜻하게 입기
얇은 옷을 여러 벌 입어 공기층을 두텁게
만들어 체온을 유지하면 좋다고 합니다.
2. 음주 삼가하기
저체온증이 느껴질 때에 음주를 하면
뇌의 인지 기능이 둔화된다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체온 조절 능력이 상실되어
춥다고 느끼지 못한다고 합니다.
3. 겨드랑이나 목 체온 유지하기
겨드랑이나 목, 머리 등은 심장에
가까운 혈관이 있어 체온이 떨어지면
열이 빠져나가는 곳이라고 하니 주위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추운 겨울철 조심해야 될 질병인
저체온증
몸을 따뜻하게 유지해주시고
건강한 겨울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에는 비몽사몽, 밤에는 말똥말똥 나도 '수면위상지연증후군'? (2) | 2022.02.07 |
---|---|
환절기 목이 따끔 인후염? 혹시 코로나 증상일까? (3) | 2022.02.06 |
백혈구 수치 낮으면 나타날 수 있는 증상 알아보기 (1) | 2022.02.04 |
하품이 자주 나온다면 '수면무호흡증' 의심해봐야됩니다. (8) | 2021.01.14 |
계단오르기 운동 잘못하면 무릎나가요.. 올바른 자세와 효과 (13) | 202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