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 하품이 자주 나온다면 '수면무호흡증' 의심해봐야됩니다.

건강

하품이 자주 나온다면 '수면무호흡증' 의심해봐야됩니다.

소소한 지식 2021. 1. 14. 14:33
반응형

 

평소에 하품이 자주 나온다면

하품을 자꾸 하는 원인에 대해 

의심해 봐야 합니다.

졸려서 나오는 하품이 아니라 

시도 때도 없이 자꾸 나오는 하품은

수면장애의 일종이라는 것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하품은 무의식적으로 나오는 호흡 동작입니다.

아주 자연스러운 생리현상 중 하나이죠.

하지만 하품이 과도하게 나온다면 단순한 

생리현상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고 합니다.

 

"푹 잤는데 개운하지 않고 머리도 무겁고

낮에 졸린다", "아침에 일어나면 머리가 아프다"

, "자다가 갑자기 숨을 안 쉰다" 등의 증상을

호소하면 수면무호흡증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합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무엇인가요?

수면 무호흡이란 수면 중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경우를 말하는데 자는 동안 숨을

안 쉬게 되면 체내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고

저산소증이 생기면서 뇌가 깨어나게 되었다가

다시 잠이 드는 과정을 거치면서 수면의 질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졸림증, 집중력 및 기억력 저하, 두통 등이

발생하게 되고 스트레스 호르몬이 발생하게 되고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장기적으로 고혈압,

당뇨, 뇌혈관 질환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고 합니다.

 

 

수면 무호흡증 어떤 사람에게 잘생기나요?

나이가 들수록 더 잘 생기며, 비만일 경우에도

잘 생긴다고 합니다.

 

또한, 여성에 비해 남성에게 더 많은

수면무호흡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외에도 술, 담배, 목이 굵거나 작은 턱을

가진 사람에게서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수면 무호흡증 증상

1. 수면 중 소변이 자주 마려워 잠에서 자주 깹니다.

2. 아침에 일어나면 입속이 심하게 말라있습니다.

3. 수면 중 입을 벌리고 자는 습관이 있습니다.

4. 낮, 오후 시간 자주 졸리는 증상을 보입니다.

5. 만성두통, 집중력 저하, 만성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수면 중 호흡이 멈추는 횟수 파악

30회 이상: 심각한 수준으로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단을 받아 처방을 받으셔야 합니다.

15~30회: 중간 수준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기에 생활습관을 바꾸셔야 합니다.

0~15회: 경미한 수준으로 아직까지 걱정할 수준은 아닙니다.

 

 

수면 무호흡 치료 및 예방

수면무호흡증 방치 시 뇌졸중, 돌연사의

위험도 있으니 치료를 하면 좋다고 하는데요.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로는 양압 치료, 

구강 내 장치, 수술적 치료 등이 있으며

대부분 환자들에서 양압 치료를 통해 

좋아질 수 있었다고 하는데요.

 

양압치료 이후 고혈압을 동반한 환자들에서

혈압 강하 효과가 있었고 인지 기능의 개선,

교통사고 발생률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체중감량, 규칙적인 운동으로

충분히 완화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체중을 약 10% 정도를 줄이면

무호흡 증상이 약 50% 정도 감소한다고 합니다.

체중감량을 위해 늦은 시간에 약 1시간 정도

수영이나 조깅 등의 유산소 운동이 도움이 되고

야식 및 간식 등을 줄이고 저녁식사는 

이른 시간에 섭취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술과 담배는 수면무호흡증에 

크게 악영향을 준다고 하니 금주 금연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우리 몸에서 나타나는 작은 반응이라도

사소하게 생각하지 마시고대처하는 것이 자기 몸을 지키는 일이니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