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자리 있는 문화가 많은
한국 사회에서 생활하시는 분들이라면
자신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먹는 술 이외에도
다량의 술을 마시고 계신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위해 간 보호 등을 목적으로
약을 챙겨 드시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그런데 술을 마시고 절대
먹으면 안 되는 약들이 있는데
알려드리겠습니다.
1. 타이레놀
타이레놀에 '아세트아미노펜' 이라는
성분은 술과 함께 복용 시 문제가 된다고 합니다.
이 성분은 두통, 생리통, 감기, 근육통 약에
많이 들어 있는 성분으로 술이 들어가게 되면
잘 분해되지 못한 독성물질이 체내에 쌓여
간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2. 고지혈증 & 무좀약
고지혈증약과 무좀약은 간에 있는
효소에 의해서 대사 되는데요.
술을 마시면 간의 대사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우리 몸속에 남아있는 약물은 대사가 안되다 보니
농도가 높아져 약 부작용이 증가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점을 무시하고 술을 마실 때 계속 약을 복용하다 보면
간에 독성물질이 쌓여 결국엔 술을 마시지 못하는
몸 상태가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3. 소염진통제 & 항혈전제
소염진통제는 염증과 통증을 가라앉히기 위해서 먹고
항혈전제는 혈관 질환에 사용되는데요.
이 두 개 약의 대표적인 부작용이 위장관 출혈인데요.
술을 마시게 되면 위점막에 자극이
많이 되기 때문에 피가 심하게 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진짜 응급실에 가야 할 정도로
통증이 심하니 주의해야 된다고 해요.
4. 항히스타민제
항히스타민제는 코감기약이나 알레르기약에 많이 들어가 있는 성분인데요.
알코올과 같이 섭취하게 되면
알코올 자체의 중추신경 억제 효과가 심해져
정신이 몽롱해지고 졸리게 된다고 해요.
이때, 비틀거리다 사고가 날 위험 가능성이 높다고 하네요.
5. 메트로니다졸
메트로니다졸은 질염이나 감염증에 흔히
처방되는 항생제인데요.
술과 함께 복용하게 되면 숙취 유발 성분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잘 분해되지 못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술을 조금만 마셨는데도 과음한 것처럼
심한 숙취를 경험할 수도 있다고 하네요.
6. 항우울제
세로토닌 과다 분비로 혈압이 증가하고
발한, 어지럼증 증 부작용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술을 마시고 약을 먹거나
약을 먹고 나서 술을 마시는 행위는
내 건강을 담보로 해서 도박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랍니다.
그러니 술과 약을 절대 함께 먹으면
안되니 조심하셔야 됩니다!!!